주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교수소개

상세보기

임승휘 교수

  • 학위 : 문학박사
  • 최종대학 : (프)Univ.ParisIVSorbonne
  • 전공 : 서양사
  • 연락처 : 041-530-2441
  • 이메일 : orgalim@sunmoon.ac.kr

상세정보

  • 학력사항
    •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졸업
    • 파리 4대학-소르본느 석사
    • 파리 4대학-소르본느 박사
  • 주요 경력사항
    • 한국프랑스사학회 회장
    • 서울대 강사
    • 한국서양사학회 총무이사
    • 한국프랑스사학회 편집이사
    • 선문대 역사콘텐츠CT창의인재양성사업단장
    • 선문대 지역문화혁신센터장 현 취업학생처장
  • 주요저역서
    • 귀족시대(로맨스 판타지에는 없는 유럽의 실제 역사)
    • 『서양사강좌』(공저) 아카넷, 2022
    • 『고등학교 세계사①, ②』(공저) 비상, 2015
    • 『중학교 역사①, ②』(공저) 비상, 2015
    • 프랑수아 기조, 『유럽문명의 역사』 아카넷, 2014
    • 『근대 유럽의 절대군주는 어떻게 살았을까?』 민음인, 2011
    • 『식인양의 탄생』 함께읽는책, 2009
    • 『프랑스의 종교와 세속화의 역사』 충남대 출판부
    • 『서양문화사 깊이 읽기』 푸른역사, 2008
    • 장보댕, 『국가론』 책세상, 2005
    • 『절대왕정의 탄생』 살림, 2004
  • 방송활동
    • tvN 벌거벗은 세계사, EBS 인물사담회 등 다수 출연
닫기
상세보기

방기철 교수

  • 학위 : 문학박사
  • 최종대학 : 건국대학교
  • 전공 : 한국사
  • 연락처 : 041-530-2479
  • 이메일 : bkch333@hanmail.net

상세정보

  • 주요 경력사항
    • 한일관계사학회 지역이사
    • 부천시사편찬위원회 상임연구원
    • 부천시 중학교 지역학습교재 자문위원
    • 국회사무직 공무원시험 출제위원 / 검토위원
    • 안성시 기록물심의회 심의위원
    • 아산시 향토문화유산 보호위원
    • 글로컬드림아카데미 이사
    • 한국사상과 문화학회 지역이사
    • 조선시대사학회 편집위원
    • 인문콘텐츠학회 편집위원
  • 주요논문
    • 「方震의 삶과 이순신의 관계」,『民族文化論叢』 86, 2024
    • 「조선 국왕 宣祖의 일본 인식」, 『한일관계사연구』 79, 한일관계사학회, 2023
    • 「이순신(李舜臣)의 군령(軍令) 운용 연구」, 『韓國史硏究』 192, 한국사연구회, 2021
    • 「조선시대 대일사신의 傳命儀 연구」, 『朝鮮時代史學報』 93, 조선시대사학회, 2020
    • 「오윤겸(吳允謙)의 일본사행과 대일인식」, 『통일인문학』 81, 통일인문학회, 2020
    • 「李之菡의 빈민구제활동과 乞人廳」, 『韓國思想과 文化』 92, 한국사상문화학회, 2018
    • 「龍州 趙絅의 대일인식」, 『韓國思想과 文化』 89, 한국사상문화학회, 2017
    • 「白沙 李恒福의 전쟁경험과 일본인식」, 『韓國思想과 文化』 83,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 「李德馨의 전쟁경험과 일본인식」, 『韓國思想과 文化』 78,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 「‘명량’과 2014년 대한민국」, 『역사와 문화』 29, 역사와 문화학회, 2014
    • 「秋浦 黃愼의 대일인식」, 『韓國思想과 文化』 74,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 「錦溪 魯認의 전쟁체험과 일본인식」, 『韓國思想과 文化』 70,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 「鄭慶雲의 전쟁체험과 일본인식」, 『韓國思想과 文化』 68,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 「임진왜란 후 조·일간 국교재개 과정 연구」, 『軍史』 84,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2
    • 「임진왜란기 오희문의 전쟁체험과 일본인식」, 『아시아문화연구』 24, 경원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1
    • 「1607년 朝·日간 국교재시 被虜人의 역할」, 『歷史學硏究』 42, 호남사학회, 2011
    • 「睡隱 姜沆의 일본인식」, 『韓國思想과 文化』 57,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 「南冥 曺植의 일본 인식」, 『韓國思想과 文化』 52,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 「『月峯海上錄』을 통해 본 鄭希得의 일본 인식」, 『韓國思想과 文化』 47,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 「退溪 李滉의 일본 인식」, 『아시아문화연구』 16, 경원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09
    • 「1592년 일본의 조선 침략에 대한 柳成龍의 시각과 대응」, 『軍史』 69,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8
    • 「栗谷 李珥의 대일인식」, 『韓日關係史硏究』 29, 한일관계사학회, 2008
    • 「朝日戰爭期 明人 許義後의 陳奏文」, 『忠北史學』 19, 충북대학교사학회, 2007
    • 「壬辰倭亂期 朝鮮 官僚가 바라본 日本軍-平昌郡守 權斗文을 중심으로-」, 『軍史』 60,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6
    • 「朝鮮初期 交隣國 使臣의 位次-朝·日關係를 중심으로-」, 『史學硏究』 79, 한국사학회, 2005
    • 「鶴峯 金誠一의 對日認識」, 『인문과학논총』 42, 건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4
  • 주요저서
    • 『부천시사』, 부천시사편찬위원회, 2023
    • 『한국역사속의 음식 1·2』, 경진출판, 2022
    • 『한국역사속의 기업가』, 앨피, 2018
    • 『한국역사속의 전쟁』, 새문사, 2014
    • 『수험국사』, 새문사, 2012
    • 『안성시사』, 안성시사편찬위원회, 2011
    • 『김포시사』, 김포시사편찬위원회, 2010
    • 『朝日戰爭과 조선인의 일본인식』, 국학자료원, 2010
  • 보고서
    • 『건국대학교 역사자료집』Ⅲ, 건국대학교 박물관, 2004
    • 『서울 강동지역 문화유적지표조사 보고서』, 서울특별시립박물관, 2001
닫기
상세보기

최영주 교수

  • 학위 : 문학박사
  • 최종대학 : (일)리츠메이칸대학교
  • 전공 : 고고학
  • 연락처 : 041-530-2324
  • 이메일 : hippo9623@daum.net

상세정보

  • 주요 경력사항
    • 호남문화재연구원 연구원(2003~2006)
    • 일본 입명관대학교 객원연구원(2006~2007)
    • 전남문화예술재단 전남문화재연구소 연구원(2013~2014)
    • 전남대학교, 순천대학교,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강사(2012~2022)
    • 호남고고학회 평의원 역임
    • 한국고고학회 평의원 역임
    • 전북연구원 전북연구센터 편집위원(현재)
    • 호서고고학회 편집위원(현재)
  • 주요논문
    • 「三國·統一新羅時代の光州中心地研究」, 『立命館文學』 691, 立命館大學人文學會, 2024.
    • 「영암 시종면일대 고분군 매장주체부의 변천배경」, 『호남학』76,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4
    • 「고대 광주의 중심지와 물자 유통」, 『호남학』 75,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4
    • 「광주 월계동 1·2호 장고분의 석실 구조 비교」, 『마한백제문화』 43,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24
    • 「영암 내동리 쌍무덤의 조성 시기와 세력 변동」, 『호남학』74,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3
    • 「고고학적 자료로 본 견훤 도읍기 무진주」, 『역사학연구』90, 호남사학회, 2023
    • 「전남지역 위세품 부장 고분의 성격」, 『호남고고학보』72, 호남고고학회, 2022
    • 「석실구조로 본 해남 방산리 장고봉고분」, 『호서고고학』52, 호서고고학회, 2022
    • 「영산강 하류권 마한 정치체의 성장과 변동과정-삼포천유역을 중심으로-」,『호서고고학』 50, 호서고고학회, 2021
    • 「삼국·통일신라시기 광주 중심지 연구」, 『역사학연구』83, 호남사학회, 2021
    • 「 마한·백제권 고분과 합천 삼가고분군 다곽식고분의 비교-전남지역 고총고분을 중심으로-」, 『역사학연구』82, 호남사학회, 2021
    • 「함평지역 마한 정치체의 성장과 변동과정」, 『호서고고학』47, 호서고고학회, 2020
    • 「일본 긴키지역 생산유적으로 본 백제계 도래인의 정착양상」, 『역사학연구』77, 호남사학회, 2020
    • 「전남지역 마한과 가야 세력과의 관계 변화와 의미」, 『역사학연구』76, 호남사학회, 2019
    • 「고고자료로 본 고대 영산강유역과 큐슈지역과의 교류관계」, 『역사학연구』74, 호남사학회, 2019
    • 「고고자료로 본 영산강유역 마한세력의 성장과 변동과정-백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52, 동아시아고대학회, 2018
    • 「전남지역 사비기 석실의 전개양상과 분포의미」, 『호남고고학보』60, 호남고고학회, 2018
    • 「한국 분주토기 연구-분포 양상과 변천과정, 고분의례과정을 통해-」, 『호서고고학』40, 호서고고학회, 2018
    • 韓半島 南西部地域 倭系 橫穴式石室特徵出現背景」, 『호서고고학』38, 호서고고학회, 2017
    • 「고분 부장품을 통해 본 영산강유역 마한세력의 대외교류」, 『백제학보』20, 백제학회, 2017
    • 「백제지역 횡혈식석실의 전개양상과 역사적 의의」, 『전남문화재』15, 전남문화재연구소, 2015
    • 「마한 방대형·원대형 분구묘의 등장배경」, 『백제학보』14, 백제학회, 2015
    • 百濟 橫穴式石室埋葬方式位階關係」, 『한국상고사학보』84, 한국상고사학회, 2014
    • 韓半島栄山江流域における古墳展開前方後円形古墳出現過程」, 『立命館文学』632, 立命館大學人文學會, 2013
    • 日本 九州地域 초기 橫穴式石室起源展開, 『호남문화재연구』14, 호남문화재연구원, 2013
    • 百濟 橫穴式石室型式變遷系統關係, 『백제문화』48, 백제문화연구소, 2013
    • 日本 畿內地域 百濟系 橫穴式石室, 『호남문화재연구』13, 호남문화재연구원, 2012
    • 三國·古墳時代における土製煙筒硏究韓半島日本列島中心, 『立命館大學考古學論集』5, 立命館大學考古學論集刊行會, 2010
    • 三國時代 土製煙筒 硏究韓半島日本列島中心으로, 『호남고고학보』31, 호남고고학회, 2009
    • 鳥足文土器變遷樣相, 『한국상고사학보』55, 한국상고사학회, 2007
    • 全南地方 出土 鳥足文土器 一考察 德山里古墳群伏岩里古墳群中心과으로, 『연구원논문집』, 호남문화재연구원, 2005
  • 주요저역서
    • 『영암 시종고분군의 역사적 성격과 활용 방안』(공저), 왕인박사현창협회, 2024
    • 『견훤의 후백제 건국과 광주』(공저),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23
    • 『무등산, 광주사람을 품다』(공저),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22
    • 『마한의 성장과 대외관계-영산강유역을 중심으로-』, 학연문화사, 2020
    • 『영산강유역 마한문화 재조명』(공저), 학연문화사, 2019
    • 『거대한 고분에 새겨진 고대인들의 죽음에 관한 관념(고분시대의 장제와 타계관)』(공역), 생각과 종이, 2019
    • 『마한 분구묘의 기원과 발전』(공저), 학연문화사, 2016
    • 『산과 연 -산과 만나다 아시아와 통하다-』(공저), 광주광역시 문화재단, 2013
닫기
상세보기

김인경 교수

  • 학위 : 문학박사
  • 최종대학 : 건국대학교
  • 전공 : 한국사
  • 이메일 : inky27@sunmoon.ac.kr

상세정보

  • 주요 경력
    • 한성백제박물관 운영자문위원회 위원
    • 조선시대사학회 연구이사
    • 아리랑TV 2022 청춘인문 논(論)장판 심사위원
  • 논문
    • 「숙종대 端懿嬪 간택의 의미-靑松 沈門의 위상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보』 112, 조선시대사학회, 2025.
    • 「1804년(순조 4) 永明尉 洪顯周의 부마 간택과 그 의미」, 『溫知論叢』 79, 온지학회, 2024.
    • 「해주오씨 棣泉 吳遂采(1692~1759) 가문의 학문과 정치활동」, 『한국계보연구』 12, 한국계보연구회, 2022
    • 「月城尉 金漢藎 家門의 공간이 갖는 역사적 의미」, 『동국사학』 74,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22
    • 「18~19세기 月城尉 金漢藎 가문의 기반 확보와 정치적 동향」, 『조선시대사학보』 97, 조선시대사학회, 2021
    • 「조선의 名家 : 안성 덕봉마을 海州吳氏」, 『선비문화』 33, 남명학연구원, 2018
    • 「조선후기 慶州 金門의 형성과 성장」, 『조선시대사학보』 64, 조선시대사학회, 2013
  • 저서
    • 『대학생을 위한 한국사 강의』(공저), 한올, 2023
    • 『조선의 학문과 정치를 주도한 명가』(공저), 경인문화사, 2016
  • 연구참여
    • 조선왕조실록 묘향산 사고본 적상산사고 이안 재연 고증 학술용역(2023)
    • 조선왕조실록 묘향산 사고본 적상산 이안 재연 학술용역(2020)
  • 강연
    • <삼천포, 인문학과의 대화> - 경상남도교육청 삼천포도서관(2025)
    • <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 임진왜란의 전개와 그 기억들> - 경상북도교육청 상주도서관(2024)
    • <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 절망 속 학문의 빛> - 김포시 마산도서관(2024)
    • <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 전쟁으로 보는 인천> - 인천 작전도서관(2024)
    • <향토인문학> - 서울특별시 서대문노인종합복지관(2024)
    • <저녁밥 인문학> - 용인중앙도서관(2023)
    • <인물로 읽는 조선시대> - 서울특별시 서울도서관(2023)
    • <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향토인문학>, - 아산시 중앙도서관(2020~2021)
    • <깊이 있게 이해하는 조선시대 역사와 문화> - 서울특별시 중구 가온도서관(2019)
    • <강동평생교육대학>, <강동평생학습교육> - 서울특별시 강동구 평생학습관(2018~2019)
    • <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도서관에서 만나는 길> - 아산시 탕정온샘도서관(2017~2018)
닫기

오재환 교수(명예교수)

  • 학위 : 문학박사
  • 최종대학 : 국립대만사범대
  • 전공 : 동양사
  • 연락처 : 041-530-2447

자료관리 : 학과 전체 콘텐츠 관리

담당자 : 최영주 / 연락처 : 041-530-2324

게재된 내용 및 운영에 대한 개선사항이 있으면 자료관리 담당자에게 연락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