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공지사항

[외부공모] 제4회 동북아역사재단 교양총서 독후감 공모전(9.7까지)

  • 작성자 손**
  • 작성일자2022.08.06.
  • 조회수615
  • 게시글 url복사 복사하기

동북아역사재단 공고 2022 - 45호

제4회 동북아역사재단 교양총서 독후감 공모전

    

동북아 역사현안 문제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주는 교양서 읽기

    

제4회 동북아역사재단 교양총서 독후감 공모전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오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

2022. 8. 1.

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

    

1. 주최: 동북아역사재단

2. 응모자격 :

  - 성인부: 공고일 기준 고등학교 졸업자 이상 성인

  - 학생부: 공고일 기준 고등학교 재학생 혹은 만 18세 이하

3. 대상 도서

  가. 

구분

도서 제목

구분

도서 제목

교양총서

(25종)

윤영하 할아버지 오사카에서
독도를 외치다

일제침탈사

바로알기

(19종)

일제의 거짓 주장 독도의 진실

일본군'위안부': 역사의 아픔을
함께 나누고 기억하다

일제 침탈 30장면

고구려 고분벽화와 만나다

Thirty Images and Documents on Japan's invasion of korea

연변 조선족 사회와 한반도 평화 

통일

자료로 보는 우리땅 독도 30장면

해동성국, 고구려를 품은 발해

Seeing Dokdo Through 30 Images and Historical Documents

실학자들은 우리나라 역사지리를 

어떻게 보았는가

함께 쓰는 역사 일본군'위안부'

하늘의 자손, 고구려의 왕과 왕자들

아직도 끝나지 않은 식민지 피해: 

야스쿠니신사 문제

고구려를 이룬 다양한 사람들: 

고구려 남자, 고구려 여자

조선민중이 체험한 '징용'

원치않은 오랑캐와의 만남과 전쟁:

조․청관계와 병자호란

비판적으로 읽는 일본 군인 회고록 속 '위안부'

옥저와 읍루: 숨겨진 우리 역사 속의 북방민족 이야기

조선인 노동자 위령비를 찾아서 1

허세와 타협: 임진왜란을 둘러싼 

삼국의 협상

죽어서도 쉬이 못 오는 귀향: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의 귀환과 미귀환

일본의 아시아태평양전쟁과 조선인 강제동원: 우리가 지켜야 할 인류 

보편의 가치!

일제 말기 여성동원 선전논리

메이지유신 초기의 조선침략론

식민통치의 혈관을 놓다: 교통으로 본 일제시대

평화를 향한 근대주의 해체: 3.1운동 100주년에 식민지'경제성장'을 다시 묻다

식민지지주제와 소작정책의 식민성

고대 한일관계와 

『일본서기』:일본서기』의 허상과 실상

일제의 조선 어업 침탈사

백두산: 자연과 역사가 살아 숨 쉬다

동양척식주식회사의 토지수탈과

 궁삼면 토지탈환운동

중국내 한중 항일연대의 역사와 현장

역사는 길 위에 있다-일제강점기 일본 규슈 지역 조선인 강제동원의 

흔적을 찾아서

여신과 그 이미지: 원형과 변형에 

대하여

한말'한일조약'체결의 불법성과 

원천무효

유라시아를 품은 고구려 고분벽화

일제강점기 학살당한 한국인들

부여의 얼굴

    

조선의 역사전문 외교관 유득공

    

조선 후기 '왜관'의 세계

    

조선통신사: 평화외교의 길을 가다

    

고려·몽골 관계 깊이 보기

    

고려와 원 간섭 속의 항쟁과 개혁 

그리고 그 유산

    

4. 응모 기간: 2022. 8. 8.(월) ~ 9. 7.(수) / 1개월

5. 응모요강

구분

독후감

영상독후감

학생부

성인부

응모대상

공고일 기준 고등학교 재학생 혹은 만 18세 이하

공고일 기준 고등학교 졸업자 이상 성인

개인 또는 단체

대상도서

동북아역사재단 교양총서(25종) 및 일제침탈사 바로알기(19종)

응모분량

A4 3매 이내

5분 이내

응모형식

(파일형태) HWP

(글자모양) 휴먼명조체, 12포인트

(용지여백) 위쪽 20·아래쪽 20, 왼쪽·오른쪽 20, 머리말·꼬리말 10, 줄 간격 160%

(해상도) 1920*1080

(형식) MP4, WMV, AVI 등 영상 형태의 파일

응모방법

소정양식을 작성하여 공모전 홈페이지에서 접수

 

6. 접수처: 공모전 홈페이지(historybookcontest.co.kr)

 

7. 시상(안) (21명, 부상 총 5,200천원)

 

응모 분야

학생부

성인부

소계

재단 교양총서

재단 교양총서

독후감

최우수상

재단 이사장상과 부상(500천원)

재단 이사장상과 부상(500천원)

1,000

1명

1명

2명

우수상

재단 이사장상과 부상(300천원)

재단 이사장상과 부상(300천원)

1,200

2명

2명

4명

장려상

재단 이사장상과 부상(200천원)

재단 이사장상과 부상(200천원)

2,000

5명

5명

10명

영상

장려상

재단 이사장상과 부상(200천원)

1,000

5명

5명

        

   ※ 영상독후감은 시범적으로 실시하는 것으로 독후감 시상 분야와 상이함

   ※ 응모작 수준을 고려한 심사결과에 따라 시상하지 않을 수 있음

   ※ 수상이 확정된 집필․영상 독후감은 재단 홈페이지 및 SNS 등에 게재될 수 있음

8. 결과발표: 2022년 10월 중순경 동북아역사재단 홈페이지(www.nahf.or.kr

  공지사항 및 개별 연락

 

9. 시상식: 10월 25일(예정)

 

10. 기타 주의 사항

- 1인 1회 응모로 제한합니다. 동일인이 중복 신청하는 경우 마지막으로 

   접수된 작품을 심사 대상으로 합니다.

- 응모작이 정해진 양식을 준수하지 않는 경우 심사에서 제외됩니다.

- 응모작은 반드시 본인의 창작물이어야 하며, 표절이나 타인의 작성이 

   적발되면 수상을 취소하고 상금을 회수하며 모든 책임은 응모자에게 

   있습니다.

- 본인의 작품이라 하더라도 수상 이력이 있거나 온‧오프라인상의 

   매체를 통해 공개된 적이 있는 원고는 투고할 수 없으며 이에 대한 

   사실이 적발되면 수상을 취소하고 상금을 회수하며 모든 책임은 

   응모자에게 있습니다.

- 심사를 통해 당선작이 없다고 판단될 경우 당선작을 선정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응모 작품의 수준에 따라 수상인원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 입상자 명단은 심사 결과 발표 후 허위사실이나 표절 여부 등을 

   제보받기 위해 시상식 전 일정기간 온라인상에서 게시될 수 있습니다.

- 공모 결과는 당선작에게만 개별 연락하며 홈페이지에 공지됩니다.

- 응모자는 응모에 필요한 모든 내용을 사실대로 작성하여야 하며, 

   개인정보 및 저작권 관련 사항에 동의한 경우 응모자가 유의사항을

   충분히 숙지하고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 유의사항 및 공고문 미숙지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는 

   응모자의 책임으로 합니다.

 

11. 문의

- 공모전 운영사무국 02-2233-4027

- 동북아역사재단 교류홍보팀 02-2012-6054





첨부파일

자료관리 : 학과 전체 콘텐츠 관리

담당자 : 최영주 / 연락처 : 041-530-2324

게재된 내용 및 운영에 대한 개선사항이 있으면 자료관리 담당자에게 연락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