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역사재단 공고 2022 - 45호
동북아 역사현안 문제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주는 교양서 읽기
제4회 동북아역사재단 교양총서 독후감 공모전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오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
2022. 8. 1.
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
1. 주최: 동북아역사재단
2. 응모자격 :
- 성인부: 공고일 기준 고등학교 졸업자 이상 성인
- 학생부: 공고일 기준 고등학교 재학생 혹은 만 18세 이하
3. 대상 도서
가.
구분 |
도서 제목 |
구분 |
도서 제목 |
교양총서 (25종) |
윤영하 할아버지 오사카에서
독도를 외치다 |
일제침탈사 바로알기 (19종) |
일제의 거짓 주장 독도의 진실 |
일본군'위안부': 역사의 아픔을
함께 나누고 기억하다 |
일제 침탈 30장면 |
고구려 고분벽화와 만나다 |
Thirty Images and Documents on Japan's invasion of korea |
연변 조선족 사회와 한반도 평화 통일 |
자료로 보는 우리땅 독도 30장면 |
해동성국, 고구려를 품은 발해 |
Seeing Dokdo Through 30 Images and Historical Documents |
실학자들은 우리나라 역사지리를 어떻게 보았는가 |
함께 쓰는 역사 일본군'위안부' |
하늘의 자손, 고구려의 왕과 왕자들 |
아직도 끝나지 않은 식민지 피해: 야스쿠니신사 문제 |
고구려를 이룬 다양한 사람들: 고구려 남자, 고구려 여자 |
조선민중이 체험한 '징용' |
원치않은 오랑캐와의 만남과 전쟁: 조․청관계와 병자호란 |
비판적으로 읽는 일본 군인 회고록 속 '위안부' |
옥저와 읍루: 숨겨진 우리 역사 속의 북방민족 이야기 |
조선인 노동자 위령비를 찾아서 1 |
허세와 타협: 임진왜란을 둘러싼 삼국의 협상 |
죽어서도 쉬이 못 오는 귀향: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의 귀환과 미귀환 |
일본의 아시아태평양전쟁과 조선인 강제동원: 우리가 지켜야 할 인류 보편의 가치! |
일제 말기 여성동원 선전논리 |
메이지유신 초기의 조선침략론 |
식민통치의 혈관을 놓다: 교통으로 본 일제시대 |
평화를 향한 근대주의 해체: 3.1운동 100주년에 식민지'경제성장'을 다시 묻다 |
식민지지주제와 소작정책의 식민성 |
고대 한일관계와 『일본서기』:일본서기』의 허상과 실상 |
일제의 조선 어업 침탈사 |
백두산: 자연과 역사가 살아 숨 쉬다 |
동양척식주식회사의 토지수탈과 궁삼면 토지탈환운동 |
중국내 한중 항일연대의 역사와 현장 |
역사는 길 위에 있다-일제강점기 일본 규슈 지역 조선인 강제동원의 흔적을 찾아서 |
여신과 그 이미지: 원형과 변형에 대하여 |
한말'한일조약'체결의 불법성과 원천무효 |
유라시아를 품은 고구려 고분벽화 |
일제강점기 학살당한 한국인들 |
부여의 얼굴 |
|
조선의 역사전문 외교관 유득공 |
|
조선 후기 '왜관'의 세계 |
|
조선통신사: 평화외교의 길을 가다 |
|
고려·몽골 관계 깊이 보기 |
|
고려와 원 간섭 속의 항쟁과 개혁 그리고 그 유산 |
|
4. 응모 기간: 2022. 8. 8.(월) ~ 9. 7.(수) / 1개월
5. 응모요강
구분 |
독후감 |
영상독후감 |
학생부 |
성인부 |
응모대상 |
공고일 기준 고등학교 재학생 혹은 만 18세 이하 |
공고일 기준 고등학교 졸업자 이상 성인 |
개인 또는 단체 |
대상도서 |
동북아역사재단 교양총서(25종) 및 일제침탈사 바로알기(19종) |
응모분량 |
A4 3매 이내 |
5분 이내 |
응모형식 |
(파일형태) HWP (글자모양) 휴먼명조체, 12포인트 (용지여백) 위쪽 20·아래쪽 20, 왼쪽·오른쪽 20, 머리말·꼬리말 10, 줄 간격 160% |
(해상도) 1920*1080 (형식) MP4, WMV, AVI 등 영상 형태의 파일 |
응모방법 |
소정양식을 작성하여 공모전 홈페이지에서 접수 |
6. 접수처: 공모전 홈페이지(historybookcontest.co.kr)
7. 시상(안) (21명, 부상 총 5,200천원)
응모 분야 |
학생부 |
성인부 |
소계 |
재단 교양총서 |
재단 교양총서 |
독후감 |
최우수상 |
재단 이사장상과 부상(500천원) |
재단 이사장상과 부상(500천원) |
1,000 |
1명 |
1명 |
2명 |
우수상 |
재단 이사장상과 부상(300천원) |
재단 이사장상과 부상(300천원) |
1,200 |
2명 |
2명 |
4명 |
장려상 |
재단 이사장상과 부상(200천원) |
재단 이사장상과 부상(200천원) |
2,000 |
5명 |
5명 |
10명 |
영상 |
장려상 |
재단 이사장상과 부상(200천원) |
1,000 |
5명 |
5명 |
※ 영상독후감은 시범적으로 실시하는 것으로 독후감 시상 분야와 상이함
※ 응모작 수준을 고려한 심사결과에 따라 시상하지 않을 수 있음
※ 수상이 확정된 집필․영상 독후감은 재단 홈페이지 및 SNS 등에 게재될 수 있음
8. 결과발표: 2022년 10월 중순경 동북아역사재단 홈페이지(www.nahf.or.kr)
공지사항 및 개별 연락
9. 시상식: 10월 25일(예정)
10. 기타 주의 사항
- 1인 1회 응모로 제한합니다. 동일인이 중복 신청하는 경우 마지막으로
접수된 작품을 심사 대상으로 합니다.
- 응모작이 정해진 양식을 준수하지 않는 경우 심사에서 제외됩니다.
- 응모작은 반드시 본인의 창작물이어야 하며, 표절이나 타인의 작성이
적발되면 수상을 취소하고 상금을 회수하며 모든 책임은 응모자에게
있습니다.
- 본인의 작품이라 하더라도 수상 이력이 있거나 온‧오프라인상의
매체를 통해 공개된 적이 있는 원고는 투고할 수 없으며 이에 대한
사실이 적발되면 수상을 취소하고 상금을 회수하며 모든 책임은
응모자에게 있습니다.
- 심사를 통해 당선작이 없다고 판단될 경우 당선작을 선정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응모 작품의 수준에 따라 수상인원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 입상자 명단은 심사 결과 발표 후 허위사실이나 표절 여부 등을
제보받기 위해 시상식 전 일정기간 온라인상에서 게시될 수 있습니다.
- 공모 결과는 당선작에게만 개별 연락하며 홈페이지에 공지됩니다.
- 응모자는 응모에 필요한 모든 내용을 사실대로 작성하여야 하며,
개인정보 및 저작권 관련 사항에 동의한 경우 응모자가 유의사항을
충분히 숙지하고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 유의사항 및 공고문 미숙지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는
응모자의 책임으로 합니다.
11. 문의
- 공모전 운영사무국 02-2233-4027
- 동북아역사재단 교류홍보팀 02-2012-6054